은퇴준비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은 연금제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보통 3층 연금이라 불리며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을 말합니다
은퇴설계 언제부터 준비해야 할까?
정답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입니다. 빠르면 빠를수록 적은 금액으로 시간이라는 아군의 힘을 빌어 복리의 마법을 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은 복리야 말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견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복리는 혼자서는 아무런 마법을 부릴 수가 없습니다. 모든 마법에는 그에 맞는 재료가 필요하듯이 복리의 마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시간이라는 재료가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은퇴설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결론이 나오는 것입니다.
국민연금(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등)은 국가에서 법률로써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위해서 연금지급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연금액이 증가한다고 하지만 국민연금만으로는 여유로울 수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퇴직연금(퇴직금)은 기업에서 근로자의 노후보장과 생활안정을 위해서 재직기간 중에
퇴직금을 적립하여 퇴직 후 연금이나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개인연금은 자율적인 준비입니다. 연금상품들은 대부분 소득공제 혜택이 있으며
일반 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변액연금보험, 변액유니버셜보험, 유니버셜 보험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의 소득공제 한도를 기존 400만원에서 800만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의원입법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경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의 월평균 불입액은 약 34만원에서 68만원으로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 확정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 사항 같습니다.
◈ 은퇴설계 5단계
개인적으로 은퇴준비를 위해 고려해볼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은퇴시기(은퇴 후 평균수명까지의 기간)
2. 은퇴 후 필요한 자금
3. 현재의 여유자금 및 자산규모
예를들면 은퇴 후 월 생활비 200만원으로 20년을 더 산다고 가정한다면, (200만원 x 12개월) x 20년 = 4억 8천만원 입니다.
물가상승률과 생활비 뿐만 아니라 취미나 여행 등 원하는 활동까지 감안한다면 이보다 더 많아질 것입니다.
스스로가 생각하고 있는 은퇴 후 필요한 자금을 계획해보고, 목표한 자금을 모으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은퇴 설계
![]() ![]() ![]() |
↑은퇴 설계↑㏅재테크 통장㏅ⓩ은퇴 설계ⓩ↑재테크 가이드↑㏅은퇴 설계㏅ⓩ아파트 투자 전략ⓩ
댓글 없음:
댓글 쓰기